고흥분청문화박물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유튜브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네이버 밴드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인스타그램 고흥분청문화박물관 페이스북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카카오스토리 고흥분청문화박물관 트위터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네이버 블로그

박물관소개

고흥의 역사와 문화를 쉽게 보고 느낄 수 있는 열린 박물관

연혁/발자취

고흥분청문화박물관의 연혁 및 발자취를 소개합니다.

  • 2018년 6월 25일 고흥갑재민속전시관 개관(2종 전시관)
    2017년 11월 30일 조정현·조정래·김초혜 가족문학관 개관(2종 문학관)
    2017년 10월 31일 고흥 분청 문화박물관 개관
    2017년 7월 박물관 등록 완료(1종 종합박물관)
    2017년 5월 박물관 건물공사 완공
    2016년 박물관 개관준비단 조직 신설, 전시유물 확보 수집, 전시 콘텐츠 개발 등
    2015년 개관준비위원회 구성, 기금조례 발의, 유물기증운동 전개, 유물 보유현황 조사,
    국립박물관 소장 고흥 출토유물 조사, 임시 수장고 설치, 설화수집, 설화 콘텐츠 사업
    2014년 분청문화관 건축공사 착공
    2014년 문화재 현상변경허가(문화재청)
    2014년 군관리계획(도시계획, 공원조성) 결정
    2012년 지방재정 투융자 심사 완료
    2012년 문화관 건립 관련 문화체육관광부 사전 심의(1, 2차) 통과
    2012년 고흥덤벙분청문화관 건립(공원) 기본계획 용역 발주
    2011년 사적지정 제519호지정 → 고흥 운대리 도요지
  • 2009년 문화재청에 사적 지정 신청
    2009년 전라남도 문화재위원회 사적 지정 심의 통과
    2007년 사적 지정에 따른 타당성 용역(순천대학교)
    2005년 부지매입(18,204㎡)
    2001년 2차 발굴조사 ▶ 국립광주박물관 / 유물산포지 1기 추가 발견
    2000년 1차 발굴조사 ▶ 국립광주박물관 / 사적 타당성 사전 현지 평가 ▶ 문화재청
  • 1996년 발굴조사 토지 매입(112.048㎡)
    1991년 국립광주박물관 정밀 지표조사 결과에 의거 청자 5기, 분청 25기로 학계 보고
    1985년 운대리 도요지 ▶ 전라남도 지방기념물 지정 제80호
    1984년 이화여대 박물관 지표조사시 청자 1기, 분청 6기 추가로 발견
    1980년 정양모와 일본인 코모토후쿠지에 의해 운대 도요지의 정체가 드러남*당시 15기 발견)

가마터 소개

고흥 운대리 일원(운대저수지를 중심으로)에서는 고려청자 요지 5기와 분청사기 요지 25기가 확인되었다.
이들 가운데 분청사기 요지 5기가 발굴되었으며, “운대리 분청사기 1·2호 요지”는 2011년에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19호로 지정되었다.
그 외 운대리 가마터는 지방기념물 80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운대리 요지의 특징

분청사기에 문양을 시문하는 방법은 상감기법을 비롯하여 인화, 조화, 박지, 철화, 귀얄, 분장 7가지 기법이 있다.
운대리 분청사기 요지에서는 이 7가지의 분청사기 제작 기법이 모두 확인되며, 분청사기의 출현에서 쇠퇴에 이르는 모든 과정과 우수한 제작 기술을 보여주고 있어 분청사기의 특징과 변천과정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문화재이다.
다른 지역의 가마와는 달리 양질의 덤벙(분장) 분청사기가 전문적으로 생산된 점이 특징이며, 특히 굽까지 담그는 완전덤벙(분장) 분청사기는 운대리 분청사기를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그릇으로 운대리 분청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